• 최종편집 2025-02-11(화)
 

- 고영인 경제부지사 주재 ‘경기 AI 혁신행정 추진단’ 회의 열고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논의

- 경기도형 특화 LLM 등 AI 서비스 도입을 위한 실·국 협조 요청 및 의견 수렴

- 경기도 자체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로 보안사고 예방. 행정 효율성 높여

0경기도청 24.10.20일.jpg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올해 13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주요 도정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논의하는 첫 회의가 열렸다.

 

경기도는 10일 경기도청사 서희홀에서 고영인 경제부지사 주재로 ‘경기 AI(인공지능) 혁신행정 추진단’ 회의를 열고 도가 추진 중인 ‘경기 생성형 AI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계획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올해 1월 시작해 내년 2월까지 추진 예정인 ‘경기 생성형 AI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은 ▲데이터 통합플랫폼 ▲경기도형 특화 LLM(대형 언어모델) ▲AI 혁신행정 시스템 ▲AI 인프라 등 도민에게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공지능 환경과 서비스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특히 경기도형 특화 LLM을 사용하면 외부 생성형 AI를 활용하며 발생할 수 있는 민감정보 유출을 차단하고, 경기도의 정책보고서와 행정자료를 학습시켜 고품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신 AI 모델을 벤치마킹·채택해 사용하는 경기도형 특화 LLM은 고성능 AI 모델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수시로 교체할 수 있도록 유연한 플러그인 구조로 추진된다.

 

또한 도는 올해 AI 혁신 행정 시스템을 통해 행정심판 업무와 자치법규 입안 지원, 문서 작성, 행정자료 검색, 회의 관리, AI 업무지원관 등 6종 이상의 행정업무 서비스를 적용할 계획이다. AI 인프라에는 클라우드, 고성능 컴퓨팅 자원, AI 솔루션 등이 포함된다.

 

생성형 AI 플랫폼 개발에 따라 행정자료 검색 시간은 50%, 문서 작성은 37%, 문서 요약은 30%이 단축되며, 흩어져있던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함으로써 유지 비용도 30%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한 편익은 연 60억 원으로 추정된다.

 

고영인 부지사는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은 전국 최초로 행정 전반에 AI를 접목해 혁신행정을 선도하는 중요한 프로젝트”라며 “행정에서 AI 대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경기도의 행정 효율을 높이고, 도민 중심 AI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 AI(인공지능) 혁신행정 추진단은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AI국이 주관하고 기획조정실, 자치행정국, 미래평생교육국, 대변인, 경제실, 국제협력국, 미래성장산업국이 참여하며, 도민 의견 수렴을 통해 실질적 도움이 되는 AI행정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김동선 기자

태그

전체댓글 0

  • 8224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경기 AI 혁신행정 추진단 출범. 행정 효율로 연간 60억 부가가치 창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